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
재무제표 보는 법 -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그 기업에 기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재무제표 보는 법 중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당순자산가치 (BPS)이란? 주당순자산가치란 영어로 BPS라고 하고 이는 Bookvalue Per Share의 줄임말입니다. (Bookvalue 란, 장부가격이란 뜻) 주당순자산가치는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인 순자산가치를 주식 수로 나눈 것을 말하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 건전성 판단을 위한 지표가 됩니다. 주당순자산가치 (BPS) 계산 주당순자산가치 (BPS)는 순자산을 총 주식수로 나누어서 구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순자산이란 자본총계에서 무형자산, 이연자산, ..
재무제표 보는 법 - ROA (Retru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그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재무제표 보는 법 중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총자산순이익률 (ROA)이란? 총자산순이익률은 Return On Asset의 줄임말로 ROA라고 부릅니다.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창출시킨 순이익을 자산의 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기업이 자기자본과 대출 혹은 타인의 자본인 부채를 합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회사의 경영자 입장에서는 주주의 자본과 더불어 타인의 자본인 부채를 통하여 조달된 모든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성과를 창출하였는지에 대한 수치이기 때문에 기업을 평가하는데 ..
재무제표 보는 법 -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그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재무제표 보는 법 중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 (ROE)이란?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Return On Equity의 줄임말입니다. 'Return'은 '수익'을 의미하고 'Equity'는 '자가자본'을 을 의미합니다. 자본 경영자가 기업에 투자된 자본을 이용하여 이익을 어느 정도 올리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을 바로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 (=자기자본)을 합입니다. 이러한 자산 중 타인의 자본 혹은 대출 등의 부채를 제외한 순수한 자기 자본 즉, 주주들의 투자금으로 얼마마 많..
재무제표 보는 법 -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그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 재무제표 보는 법 중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당순이익 (EPS) 주당순이익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줄임말입니다. ESP는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하고 1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이 1년 동안 영업활동을 하여 벌어들인 돈이 1주당 얼마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 주료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주당순이익 EPS는 자본금 규모가 다른 기업 간의 경영성과나..
삼성전자와 TSMC에 투자하는 반도체 ETF (KODEX 한국대만IT프리미어)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그리고 대만의 TSMC와 같은 대형 반도체 관련주에 소액으로 투자 가능한 ETF가 있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해당 ETF는 한국과 대만거래소에 상장된 대표 IT 종목에 투자하는 KODEX 한국대만IT프리미어입니다. KODEX 한국대만IT프리미어 개요 KODEX 한국대만IT프리미어는 반도체 산업 중 파운드리 점유율 합계 70% 이상인 TSMC와 삼성전자에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파운드리 반도체 웨이퍼 위탁생산 전문 분야로 스마트폰, IoT, 전기자동차 등 디지털 기술 확산 및 고성능, 저전력을 위한 미세공정 개발에 따라 성정이 기대되는 분야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시가총액 : 1,012억 원 상장일 : 2018년 6월 11일 총보수 :..
ARKW ETF (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 알아보기 오늘은 캐시우드의 ARK Invest에서 운영하는 ETF 중 차세대 인터넷 관련 ETF인 ARKW ETF, 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RKW ETF 기본정보 ARKW는 차세대 인터넷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차세대 인터넷이라는 포괄적 의미안에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ce), 빅 데이터 (Big Data),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사이버 보안, 블록체인 (Block chain) 및 IoT (Internet of things) 기술과 관련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ARKW ETF의 티커 (Ticker)는 ARKW이고, 2014년 9월 30일에 상장되었습니다. Active..
KBS TV 수신료 해지 및 환불 방법 알아보기 정말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집에 TV가 없다며 TV 수신료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TV 수신료 해지 신청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억울하게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 오늘은 KBS TV 수신료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지 신청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BS TV 수신료란? 먼저, TV 수신료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V 수신료는 TV 방송 수신료를 줄여서 통상적으로 말하며 흔히 KBS 시청료라고도 합니다. 방송법 제64조에 의거하면 TV 방송을 위한 수상기를 소지한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사람은 (외국인 포함) 모두 TV 수신료를 납부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TV 수신료는 KBS 라디오와 TV 운영 그리고 제3라디오와 KBS 교향악단 기술..
기프티스타 사용방법 기프티스타 사용방법 혹시 사놓고 사용하지 않은 기프티콘을 가지고 계신가요? 아니면 선물 받은 기프티콘이 있는데 평소 별로 선호하지 않는 브랜드라 아직도 사용하지 않고 있나요? 이것도 아니라면 좀 더 저렴한 금액으로 기프티콘을 구매하고 싶으신가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바로 기프티스타입니다. 오늘은 기프티스타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글의 순서) 1. 기프티스타란? 2. 기프티스타 제휴처 3. 기프티스타 사용방법 4. 기프티스타 사용 시 유의사항 기프티스타란? 기프티스타는 기프티콘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해 주는 서비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프티스타는 기프티콘 판매자에게 기프티콘을 매입하여 구매 후에 일정 수수료를 더해 기프티콘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서비스의 방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