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그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 재무제표 보는 법 중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당순이익 (EPS)
주당순이익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줄임말입니다. ESP는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하고 1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이 1년 동안 영업활동을 하여 벌어들인 돈이 1주당 얼마인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
주료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주당순이익 EPS는 자본금 규모가 다른 기업 간의 경영성과나 투자가치를 평가할 때 당기순이익 크기를 단순 비교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겨난 개념입니다.
주당순이익 (EPS) 의미
주당순이익 (EPS)가 높을수록 주식 투자의 가치가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의미는 경영 실적이 양호하다는 의미이며, 그만큼 배당의 여력도 많다는 뜻으로 배당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주당순이익 모두 증가하는 기업이라면 투자할만한 가치가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당순이익 (EPS)가 마이너스라면 당기순이익이 '0'이라 이므로 기업이 손실을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주당순이익은 계산식 상 분자인 당기순이익 규모가 증가하면 높아지고, 분모인 총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게 되면 높아지게 되니다. 반대로 당기순이익의 규모가 작아지게 되면 주당순이익의 값은 낮아지고, 발행 주식 수가 많아지게 되면 주당순이익이 낮아지게 됩니다. 전화사채의 주식 전환 또는 증가의 경우가 주식 수가 많아지게 되는 흔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주식 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게 되면서 주당순이익 (EPS)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주당순이익 (EPS) 예시
아래를 참고하면, 1주당 같은 주가를 가정한 상태에서 A기업과 B기업을 비교해보면, B기업이 A기업에 비해 주당순이익 (EPS)가 2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주당 500원을 벌어들인 A기업에 같은 1주로 1,000원을 벌어들인 B기업이 더욱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투자를 하게 될 경우 B기업이 A기업보다 더욱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A기업
-
1주당 1년 동안 500원의 수익 발생
-
EPS = 500원 (500원 / 1주)
-
B기업
-
1주당 1년 동안 1,000원의 수익 발생
-
EPS = 1,000원 (1,000원 / 1주)
본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리고, 추가적으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또 다른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0) | 2021.03.02 |
---|---|
재무제표 보는 법 - ROA (Retru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0) | 2021.02.28 |
재무제표 보는 법 -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0) | 2021.02.28 |
주식 호가창 보는 법 알아보기 (0) | 2021.01.20 |